한글 - 가장 잘 만들어진 문자
한글 - 가장 잘 만들어진 문자
모든 문자 체계에는 나름대로 문자 체계가 있으며 , 대개 그 역사는 매우 오래 되었습니다. 그러나 한글은 불과 500년 전에 만들어졌으며 단 하루 아침에 배울 수 있도록 만들어 졌습니다. 아시는 것처럼 한글이 만들어지기 전에는 우리 말에는 자체 문자가 없었습니다. 1000년이 넘도록 양반들은 한자를 사용하여 뜻을 전달하였습니다.
15세기에 들어서서 세종 대왕은 읽지도 쓰지도 못하는 백성들의 고충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백성들은 억울한 일이 있어도 글로 써서 나라에 알릴 방법이 없었습니다. 세종 대왕은 백성들을 사랑한 왕으로 백성들의 고충을 풀어 줄 방법을 고민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세종 대왕은 우리 말에 어울리며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문자를 만드는 일에 앞장을 서게 되었지요.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한글은 1446년에 반포되었습니다.
세종 대왕은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우리 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잘 통하지 아니한다.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내가 이것을 가엾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 여덟 글자를 만드니,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쉬이 익혀서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따름이니라."
안타깝게도, 일부 학자들은 한글이 배우기 쉽다는 이유로 한글을 반대하기도 하였다지요. 그런 학자들은 한글을 '암글' 즉 '여자들이나 쓰는 글'이라고 낮추어 불렀습니다.
당시 서당에서 글을 배우지 않았던 여자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문자 체계를 무시하였던 것입니다.그 후로 400년이 지나서야 조선은 공공 문서에서 한글을 사용할 수 있다고 반포하기에 이릅니다.
한글 창제에 참여했던 한 학자는 "지혜로운 사람은 하루 아침 안에 깨칠 것이요,어리석은 사람도 열흘 안에 배울 수 있느니라."고 말하였습니다. 사실 초기에 한글을 반대한 사람들 중에는 한글을 '아침 글'이라고 낮추어 부른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들은 하루 아침에 배울 수 있는 한글이기에 자신들이 사용하기에는 너무 단순한 글이라고 생각하였던 것입니다. 지금 돌아보면 참으로 발상의 전환이 꽉 막힌 시대의 사람들이었습니다.
어쨋든, 배우기 쉬운 한글 덕분에 오늘날 한국에서는 문맹이 사라지게 된 것입니다. 요즘 한국의 어린이들은 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한글을 뗀 상태입니다. 지금은 외국 나라들에서도 부러워하는 문자체계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만큼 한글은 쉽게 배울 수 있는 문자 체계이기 때문이지요.
영어권 나라들과는 달리, 한국 학교에서는 철자 맞추기 대회 같은 것이 없습니다. 한글로 한국말의 소리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어서, 들리는 대로 정확히 표기하는 것이 어렵지 않기 때문 입니다.
세종 대왕 시대에 한글 자모는 28개였고, 그 중 24개가 지금도 사용되고 있습니다.그 가운데 14개가 자음이고 10개가 모음입니다.다섯개의 기본 자음은 소리를 만들어 내는 입과 목구멍의 여러 부분을 본 떳다고 하지요. 지금 사용하지 않는 모음에서 점은(.) 둥근 하늘을, 수평 획(-)은 땅을, 수직 획(ㅣ)은 서있는 사람을 의미했다고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말에 잘 맞는 문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정말 자랑스럽게 생각되지 않으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