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인플레이션의 징후들


2008년에 미국에 금융 위기가 온뒤, 세계는 지금까지 디플레이션을 잡으려고 양적완화라는 멋진 말로 위장된 그러니까 돈 찍어내기에 여념이 없었습니다 . 미국 달러를 선두로 유로화도 엔화도 세계를 주름잡던 화폐들이 줄줄이그 뒤를 이었습니다. 속셈은 자국의 화폐가치를 낮추어 무역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고자 하는 점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돈도 하나의 상품으로 보았을 때, 너무 흔해 빠지면 그 가치가 하락하기 마련입니다. 나라들이 이렇게 많은 돈을 너도 나도 인쇄하여 세상에 내보내다 보면, 결국은 그 가치가 하락하여 누구도 쳐다보지 않는 길거리 쓰레기 취급을 받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치솟는 물가로 경제가 파탄나는 상황을 하이퍼인플레이션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우리 같은 민초들도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징후가 어떤 것인지를 알아 두고 대처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어떤 나라의 중앙은행이 국가 부채의 25프로를 보유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머지않아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런 내용은 서민들은 잘 모르는 사실이고 , 보통 일상 생활에 바쁜 국민들도 물가는 매일 오르는데 은행의 이자가 형편 없으면, 자동적으로  돈을 인출하여 시간이 갈수록 은행 이자보다 더 오르는 상품으로 바꾸어 놓으려 할 것입니다. 따라서 은행 금리와 물가 상승률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심하면 일반 서민들도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멀지 않았다고 봐야 하겠지요.



따라서 국민들의 저축률은 갈 수록 떨어지게 것입니다. 틀림없이 약싹 빠른 사람들은 은행에 저금을 하지 않고 금리보다 더 많이 올라가는 그 무엇이가를 사두고자 할 것입니다. 그러한 것에는 금과 은, 또는 견실한 외국 화폐와 같은 것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다가 결국 진짜 화폐인 금과 은 값이 폭등하기 시작한다면 하이퍼인플레이션의 확실한 전조가 될 것입니다.  그 나라의 돈의 가치가 떨어지니 무역하는 사람들은 무역 흑자가 많이 나게 되겠지요. 하지만 돈 가치가 전보다 그만큼  떨어져 버렸으니 별로 이겠지만요.



아마 외국인들도 그 나라의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면 들고 있을 수록  돈가치가 형편없어지니 틀림없이 그들도 그 나라의 국채를 팔고 떠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정부의 화폐관리에 변화가 생깁니다. 전에는 돈을 많이 풀면 물가가 폭등하기 때문에 발행했던 채권을,  이제는 반대로 돈을 찍어 주고 채권을 회수하기 시작 합니다. 다시말하면 회수한 만큼 반대로 돈을 시중에 풀어 놓는 일을 하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국가에서도 은행금리를 많이 올려 주면서 어느 정도 물가 상승률에 맞추어 줄테니 돈을 은행에 그냥 두라고  유혹하게 됩니다. 그러나 금리가 오르기 시작하면 돈 많은 사람들이나 기업들은 좋겠지만,반대로 빚이 많은 사람들이나 기업들에게는 죽음 입니다. 그 후유증 또한 어마어마 합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오면 집값이 오른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덩치가 큰 물건들은, 그만큼 융자 즉 빚도 덩치가 크기 때문에 이 점을 염두에 두고 계산해 봐야 합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 시대에는 물건 하나 사는데 점점 더 많은 돈을 들고 다녀야 하기때문에, 정부는 어쩔 수없이 들고 다니기 편한 고액권을 발행하기 시작 합니다. 2차 대전후의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도 그랬고, 짐바브웨도 그랬습니다. 시간이 갈 수록 더 고액권을 발행하지 않으면 안되게 됩니다.  돈의 가치가 점점 더 떨어지면서, 슈퍼마켇에 그 많던 물건들이 자취를 감추게 됩니다. 약싹 바른 상인들은 남들이 눈치채기 전에 매점매석을 시작합니다.

 

    


덩치가 큰 물건값들은 떨어지는데  생필품 값은 마구 올라가게 됩니다. 정부에서 꽤 좋은 이자를 보장하는 장기채권을 발행하면 먼 훗날의 돈 가치를 못 믿기에 팔리지가 않게 됩니다. 팔려 봐야 단기채권입니다. 정부도 돈이 있어야 공무원들 월급도 주고 나라 살림을 하기에, 정부는 더 많은 세금을 걷기 위해 혈안이 됩니다.점점 국민들의 불만은 커지고 개인들은 생활비가 턱없이 부족해지면서 봉급 올려 달라고 하면서, 시위와 파업이 많아지게 됩니다.  시간이 갈수록 혼란은 갈 수록 더 심해 지게 됩니다.



요즘의 디플레이션은 어쩌면 쓰나미가 오기전 물이 빠지는 현상인지도 모릅니다. 지금이야 석유을 비롯하여 원자재들 가격들이 형편 없지만,  그동안 나라들은 디플레이션을 잡는다고 너무 많은 돈들을 풀어 놓았습니다. 잊지 마십시오!  어떤 물건이든 너무 흔해지면 그 가치가 폭락하게 되어 있습니다! 



달러를 선두로 한 그동안 풀린 많은 돈들이, 나라들의 지혜로운 대처로 인해 어떤 화도 가져오지 않고 평안히 갈 수 있을지, 아니면 무능한 나라들이 저지른 일로 인류에게 대재앙을 가져 올 것인지 시간만이  알려 줄 것입니다. 아무쪼록 이 글이 우리 같은 서민들에게 미래를 준비하는데 조금이나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금 선물 시장에 디폴트가 올것인가

미국에 다가올 하이퍼인플레이션

주택담보대출 알아보기

아파트중도금대출 알아보기


+ Recent posts